한강벨트 과열에 서울 아파트 15억 초과 고가 거래 다시 늘었다

182.3.***.***
28

8월 17%→9월 21%로 '껑충'…성동·마포 등 비강남 한강벨트 강세 영향
"규제 전 사자" 매수 몰려 연일 신고가…15억∼30억 초과 19.4% 차지
강남3구 집중된 30억 초과는 감소세…추석 이후 정부 추가 규제 촉각

(서울=연합뉴스) 서미숙 기자 = 6·27 대출 규제 이후 감소했던 서울지역의 15억원 초과 고가 아파트 거래가 9월 이후 다시 살아난 것으로 나타났다.

중고가 아파트가 밀집한 한강벨트 지역의 거래가 증가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이에 비해 대출 규제 후 크게 늘었던 9억원 이하 저가 아파트 거래 비중은 9월 들어 다시 감소했다.

한강을 낀 서울 아파트 단지 전경 [연합뉴스 자료사진]

8일 국토교통부의 실거래가시스템을 분석한 결과 지난 9월 서울 아파트 거래 신고 건수는 총 5천186건(공공기관 매수·계약 해제 건 제외)으로 이 가운데 15억원 초과 거래 비중은 21.1%(1천70건)를 차지했다.

이는 전월의 15억원 초과 거래 비중(17.0%)에 비해 4%포인트 이상 증가한 것이다.

서울 아파트 시장은 주택담보대출 한도를 6억원으로 제한한 6·27 대출 규제 이후 거래량이 크게 줄어든 가운데, 상대적으로 고가 아파트의 감소 추세가 두드러졌다.

지난 6월 28.2%였던 15억원 초과 거래 비중은 7월에 24.1%로 줄었고, 8월에는 17.0%로 크게 감소했다.

그러다 9월 들어 다시 20%를 넘긴 것이다.

15억원 초과 중에서도 15억 초과∼30억원 이하 거래 비중이 19.4%를 차지하며 전월(14.6%)에 비해 5%포인트 가까이 증가했다.

9·7대책 이후 토지거래허가구역 등 추가 규제지역 지정 가능성이 커진 성동·마포구와 광진·동작구 등 비강남권 한강벨트에서 신고가 거래가 이어진 영향이다.

특히 성동·마포구에서는 지난달 전용 59㎡의 실거래가가 20억원을 돌파한 단지들이 속출했다.

성동구 금호동 e편한세상 금호파크힐스 전용 59.9㎡는 지난달 말 역대 최고가인 20억5천만원에 계약됐다. 이는 직전 거래가인 지난달 초 19억원에 비해 1억5천만원 높은 금액이다.

마포구 아현동 래미안푸르지오1단지 전용 59.9㎡도 지난달 말 역대 최고가인 21억5천만원에 팔리며 실거래가 20억원을 넘겼다.

성동구 금호동의 한 중개사무소 대표는 "9·7대책 이후 정부가 토허제 지정 권한을 갖는 법 개정이 추진되면서 이곳도 토허제 지정 가능성이 커진 것으로 보고 그 전에 서둘러 전세를 끼고 사두려는 매수자들이 몰리고 있다"며 "호가가 뛰는데 매물이 별로 없다보니 오른 가격에도 거래가 성사된다"고 말했다.

9억∼15억원 이하 거래 비중도 6월 34.5%에서 7월에는 29.1%로 감소한 뒤 8월 32.2%에 이어 9월에는 36.3%로 늘었다.

이에 비해 강남3구 아파트가 집중된 30억원 초과∼50억원 이하 비중은 지난 9월 1.5%를 차지하며 전월(2.0%)보다 감소했다. 지난 6월 4.2%에 비해서는 두 달 연속 절반에도 못 미치는 수치다.

50억원 초과 초고가 아파트 거래 비중도 지난 6월 0.94%였으나 8월에는 0.42%로 줄고, 9월에는 0.2%로 감소했다.

6·27 대출 규제로 토허구역으로 묶여 전세를 낀 매수가 불가능한 강남권 고가 아파트 거래는 직격탄을 맞은 대신 전세 낀 갭투자가 가능한 비강남 한강벨트 지역으로 매수세가 몰린 것이다.

서울의 한 중개업소 매물판 모습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의 한 중개업소 매물판 모습 [연합뉴스 자료사진]

중고가 아파트 거래 비중이 커지면서 9억원 이하 중저가 비중은 절반 이하로 감소했다.

지난 9월 9억원 이하 거래 비중은 6·27 대출 규제 이후 가장 낮은 42.6%를 기록했다.

9억원 이하 거래 비중은 거래량이 급증했던 지난 6월 37.3%에 그쳤으나 대출 규제 후 7월에는 46.7%로 늘고, 8월에는 50.7%로 절반을 넘겼었다.

시장에선 추석 이후 정부의 추가 규제 가능성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정부는 지난 9·7대책에서 규제지역의 주택담보대출비율(LTV)을 50%에서 40%로 낮췄고, 국토부 장관도 공공사업이 없는 단일 행정구역을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할 수 있도록 하는 법률 개정을 추진중이다.

마포구 아현동의 한 공인중개사는 "현재 거래량 증가는 규제지역으로 묶여 대출 금액이 줄거나 갭투자가 막히기 전에 사두려는 매수자들이 선취매에 나선 영향이 크다"며 "앞으로 토지거래허가구역이나 조정대상지역·토지거래허가구역 등 규제지역으로 지정되면 한동안 거래 시장도 위축될 것"이라고 말했다.

sms@yna.co.kr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

인도네시아 최고의 한인 커뮤니티
NongKrong !
살아 있는 정보와
진정한 소통의 공간으로
여러분의 일상에 더 가까이,
더 깊이 다가가겠습니다.

한국 핫 뉴스

  • IDR
  • KOR
8.61 =0.00

2025.10.09 KEB 하나은행 고시회차 3018회

  • 등록 된 일정이 없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