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슬람교에 대해 알아보자(아마 1편)

118.99.***.***
90

  안녕하세요. 슐레이만1세 입니다.   오늘은 인도네시아 인구의 87퍼센트 정도를 차지하고 있는 이슬람교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나와 다른 종교에 대해 조금 알아보자는 의도로 쓴 글이니 가볍게 읽어주시기 바랍니다.


☪️ 누구를 믿는 종교야?

아랍어로 "알라"라고 적힌 성 소피아 모스크의 원판


  이슬람 입교 의식을 "샤하다"라고 합니다.   샤하다는 같은 의식에서 사용되는 문장을 의미하기도 하는데요. 이슬람교의 신앙을 한문장으로 축약한 것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샤하다의 아랍어 문장은 "라, 일라하 일랄라, 무함마단 라술룰라."라고 하는데요. 뜻을 번역하자면 하느님/하나님 외에 다른 신은 없으며 무함마드는 그의 사도입니다. 즉, 이슬람교는 유일신을 섬기는 종교라는 것입니다. 이슬람교에서 믿는 신을 알라(아랍어로 아울러흐 정도로 발음한다고 합니다)라고 하는데요. 한국에서는 알라신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잘못된 표현입니다. 알라는 이미 아랍어로 하느님/하나님이라는 뜻을 갖고 있는 단어이거든요. 즉, 알라신이라고 하면 신신이라고 하는 것과 다를 바 없다는 것 입니다.

  이슬람교에서는 자신들이 믿는 신이 유대교와 기독교의 신과 같다고 주장하는데요. 일부 근본주의적 개신교인들은 이를 불편해 합니다. 그래서 이슬람교는 삼위일체(정통 기독교와 이단을 가르는 기독교판 샤하다)를 인정하지 않기 때문에 알라는 기독교의 야훼/여호와와 다른 신이라고 주장하기도 합니다. 다만, 같은 논리로 기독교의 하느님/하나님 또한 유대교의 하쉠/YHWH와 다른 신이라는 결론을 내릴 수 있습니다. 개신교인 중 본인들의 신이 유대교의 신과 다르다고 주장하는 사람은 없죠. 결국 같은 신을 바라보는 관점이 다를 수는 있어도 이슬람교의 신은 기독교나 유대교의 신과 같다고 생각하는 것이 가장 편합니다.

  알라라는 말은 아랍어로 신을 나타내는 단수형 어휘로, 복수 표현은 일라라고 합니다. 알라는 아람어(예수의 모어) 단어인 "알라하"에서 유래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 "알라하"는 또 다시 히브리어의 "엘로힘"에서 기원한 표현이죠. 정확히는 히브리어로 엘로힘은 신을 나타내는 장엄 복수형 표현(공경을 위해 일부러 복수형으로 표현한 것)이기 때문에 히브리어로 신을 나타내는 단수형 표현인 "엘"에 대응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 생각보다 한국과 연이 깊은 종교라고?


고려시대 한국인 무슬림, 라마단 빈 알마웃딘의 비석


  한국인은 이슬람교에 대해 잘 모르거나 어색해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슬람교가 한국에서 친숙한 종교가 아니기 때문이죠. 그런데 여러분, 한국이 이슬람교와 생각보다 연이 깊다는 사실을 알고 계신가요? 이슬람교는 9세기 경에 한국에 전래되어 최소한 15세기 중반까지는 공동체가 남아있던 것으로 추측됩니다. 조선후기는 되어서야 들어온 천주교나 19세기 말에 들어온 개신교에 비하면 한국에 먼저 들어온 종교이죠. "엥, 거짓말..."이라고 하실 수도 있지만, 고려시대 한국인 무슬림인 라마단 빈 알마웃딘의 비석을 통해 한국에도 무슬림이 존재했다는 것을 알 수 있죠. 그러나 이슬람교는 조선시대 국교의 역할을 한 성리학의 탄압으로 인해 잠시 역사가 끊겼습니다. 그러고 나서 20세기 한국전쟁 때 참전한 튀르키예 군인에 의해 다시 한국에 정착되었다고 합니다.

 이건, 이슬람교와의 관련은 아니지만 이슬람교와 한국 문화는 비슷한 점이 몇몇 있는데요. 대표적으로 돼지고기를 먹지 않았다는 점이죠. "어제도 돼지고기 먹었는데?" 하시는 분들이 분명히 있을 것입니다. 오늘날, 한국의 대표적인 요리 재료가 된 돼지고기는 20세기 초반까지만 하더라도 한국인은 잘 먹지 않는 음식이었다고 해요. 이는 돼지의 특성에서 기원하는데요. 돼지는 인류와 식단을 공유하는 동물입니다. 인간이 먹는 음식을 먹는다는 말이죠. 그리고, 소와 개, 닭과는 다르게 육류의 역할 외에는 인류에게 어떠한 이득을 제공하지도 않는데요. 이러한 이유로 돼지는 전통적으로 동아시아에서 배척되는 동물 중 하나였습니다. 물론, 이슬람교처럼 종교적으로 배척된 것은 아니라서 돼지를 키울 여유가 되는 부자들은 먹었다고 합니다. 앞으로는 돼지고기를 못 먹는 무슬림 친구가 있다고 하더라도 "우리 조상님들도 안 드시던 음식이지"하면서 문화차이로 넘겨보는 것은 어떨까요?



🕌 어떤 특징을 갖고 있어?

이슬람교는 육신오행이라는 주요 교리를 갖고 있습니다. 여섯개의 믿음과 다섯가지의 의무를 말하죠. 여기서 육신이란 다음과 같습니다.


1. 유일신에 대한 믿음

2. 천사에 대한 믿음

3. 성서에 대한 믿음: 성서란, 토라, 시편, 복음, 꾸란을 말합니다. 그러나 이슬람교에서는 꾸란을 제외한 성서는 편집 되었다고 생각하여 참고만 할 뿐 예배 의식에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4. 선지자(사도)에 대한 믿음: 아담부터 예수까지 그리고 최후의 예언자인 무함마드를 포함하여 25명의 예언자를 믿는 것을 말합니다. 다만, 이슬람에서는 신이 내린 선지자는 셀 수 없이 많고 성서에 언급된 선지자만 25명이라고 말한다고 하네요. 참고로 유일하게 언급된 여성 예언자는 예수의 어머니 마리아라고 합니다.

5. 최후의 심판에 대한 믿음

6. 정명에 대한 믿음: 신이 내 삶의 모든 운명을 정해놓으셨다는 믿음입니다.


또한, 오행은 아래와 같습니다.


1. 샤하다

2. 예배: 이슬람교에서는 하루에 5번 기도하는 데, 살라트(인도네시아어로 솔랏)라고 합니다. 각각 파즈르(수부), 주후르, 아사르, 마그립, 이샤라고 불립니다. 동쪽을 바라보고 기도하는 기독교(가톨릭이나 정교회와 같은 보편교회)나 예루살렘을 바라보고 기도하는 유대인과 비슷하게 메카의 카바🕋(하람 모스크)를 바라보고 기도해야 합니다. 이를 끼블라라고 합니다.

3. 금식

4. 자카트: 가난한 사람을 위해 자신의 재산의 2.5퍼센트를 떼어주는 것을 말합니다. 기독교의 십일조와 비슷하지만, 1년에 대략 4000달러 미만의 소득을 벌 경우 면제라고 하네요.

5. 성지순례: 소순례인 움라와 대순례인 하지로 구성되는데, 5개의 의무에 해당하는 것은 하지라고 합니다. 참고로 하지를 다녀오면 이름 앞에 하지를 붙인다고 합니다.



🇮🇩 인도네시아에는 언제 들어왔어?


  아마 잘 아시겠지만, 인도네시아는 원래 이슬람과는 거리가 먼 지역이었습니다. 세계지도를 펼쳐놓고 봐도 메카와의 거리는 전통시대 어느 이슬람 지역보다 먼 편이죠. 그런데 이러한 지역에 어쩌다가 이슬람교가 들어왔을까요? 정확히 어느시기에 이슬람이 들어온지는 모릅니다. 그러나 대략 자바에서는 마자파힛 제국 말기에 전파되기 시작하여, 마타람 술탄국(17세기 경) 시절 완전히 자리잡았다고 알려져 있죠. 오늘날 인도네시아에서 화교(중국계)는 대부분 기독교나 불교를 믿지만, 이슬람 전파 초기에는 화교들이 주로 이슬람을 받아들였다고 해요. 실제로 마자파힛 제국의 쇠퇴를 가져온 정화의 대항해에서 정화라는 인물 또한 명나라 사람이지만 무슬림이었습니다.

이렇듯, 이슬람은 인도네시아의 역사에서 보면 아주 최근에 들어온 편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자바 일부 지역에서는 이슬람교이지만 정통 이슬람과는 전혀 다른 전통을 지키는 사람들도 존재한다고 해요. 또한, 이슬람화는 오늘날에도 멈추지 않고 지속중이기 때문에, 젊으면 젊을수록 정통 이슬람 교리에는 더 친숙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 모스크, 무살라?

튀르키예 이스탄불의 성소피아 모스크
중부 자바 꾸두스의 모스크, 자바 전통 양식으로 지어짐


  이슬람교에서는 앞서 말했듯 하루에 다섯번 기도 해야하는데요. 이렇기 때문에 어디를 가나 예배 시설이 구비되어 있습니다. 간편하게 예배를 할 수 있는 장소를 무살라라고 하고, 기독교로치면 성당과 교회라고 불리는 예배당에 해당하는 곳을 마스짓(모스크)이라고 하네요. 이 마스짓이나 무살라에서는 하루에 다섯 번 아잔(기도를 알리는 소리)을 내보냅니다. 또한, 남성 무슬림은 금요일 점심에 합동 예배를 드려야하는데요. 이때 마스짓에 가서 예배를 드린다고 합니다.



💣 이슬람, 테러 종교 아니야?

  한국에서는 9.11 테러와 아프가니스탄, ISIS와 같은 테러리스트의 영향으로 인해 이슬람교하면 테러리스트를 떠올리는데요. 이슬람교도 입장에서는 억울한 면이 많다고 합니다. 먼저, 저런 테러리스트는 이슬람으로 보면 상당히 극단적 교리를 주장하는 경우가 있어 이단에 가까운데요. 한국에서도 일부 이단 교회에서 물의를 일으키면 개신교인들이 저들은 이단이고, 우리와 다르다라고 주장하는 것과 같이 대다수의 무슬림들도 비슷하게 생각합니다. 그리고 저런 테러리스트가 활개를 치는 국가들은 대부분 치안이 안정되지 않은 국가입니다. 인도네시아에서 이슬람 무장단체가 활동하며 국가적인 테러를 일으킨다는 말은 들어보신 적이 없을 것 입니다. 저런 국가에 비하면 치안이 안정된 국가이기 때문이죠.


부처님 오신날, 조계사 앞에서 찬송가를 부르는 한국 개신교인들


  마지막으로는 종교적 극단주의나 테러는 다른 종교에서도 많이 일어나는 일 입니다. 다만, 언론에서 종교와 관련지어 언급하지 않을 뿐이죠. 대표적으로 인도에서는 힌두교인에 의해 무슬림들이 탄압받고, 미얀마에서는 불교도에 의해 무슬림 소수민족인 로힝야인이 탄압받고 있죠. 아시아의 대표적인 기독교 국가인 필리핀에서는 무슬림 소수민족이 탄압받고 있습니다. 한국도 극단주의로부터 자유롭다고 할 수 있을지 의문입니다. 몇년 전 부처님 오신날 대규모의 기독교인파가 조계사 앞으로 모여 확성기로 "불교는 틀렸다"라고 외치며 대형스피커로 찬송가를 튼적도 있고, 자신의 교회 건물보다 크다는 이유로 한국 최초의 성당을 불태웠으며, 기독교 문화재가 아니라는 이유로 불국사로 가서 무너져라를 외친 사례도 있기 때문이죠. 이런 극단주의자들은 이슬람교 또한 대상이라서 이태원 마스짓에서도 "무너져라" 외친적도 있고, 신자수가 적다는 이유로 이슬람교 교리를 왜곡하는 도서를 퍼내기도 합니다. 다만, 이러한 소식에 대해서는 언론에서 다루지 않거나 종교와 관련하여 언급하지 않죠. 


  닉네임과 다르게 저는 이슬람 신자가 아니라 이슬람교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차차 더 공부하고 알려드리겠습니다. 어쩌면 인도네시아에 오래 사셨으면 저보다 더 잘 아실 수도 있고요.

  • (139.192.***.***)

    이슬람, 테러가 생각나긴해요.ㅎ 그래서 처음에 여기 올때 조금 무서웠었네요,,ㅎㅎㅎ

    @귤탱스님에게 대댓글 쓰기

    댓글 등록
  • (66.96.***.***)

    @귤탱스
    아무래도 그러한 뉴스만 듣다보면 그렇긴 합니다. 만약 이슬람이 테러 종교였다면 이정도로 성장하기 힘들었을 것 입니다. 오늘날 우리가 정통종교라고 알고 있는 종교들은 대부분 그러한 극단주의를 지양합니다. 다만, 앞서 말했듯이 이슬람 테러리즘이 설치는 동네는 치안이 개판 오분전이기 때문에 그러한 극단주의로부터 자유롭지 못할 뿐이죠.

    @슐레이만1세님에게 대댓글 쓰기

    댓글 등록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

자유게시판

  • IDR
  • KOR
8.83 -0.01

2025.02.20 KEB 하나은행 고시회차 559회